회원사 동정

제목  e SIM 서비스 이해 1) 서비스 개요
이름
 미디어로그
작성일  2022년 08월 26일 09시 36분

e SIM은 지난 ‘21년 12월 과기정통부의 eSIM 도입방안 발표에서 스마트폰 eSIM 서비스 시행일을 ‘22.09.01로 발표함에 따라 이통 3사와 알들폰사업자는 올해 초부터 ’22.09.01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스마트폰 eSIM 서비스를 준비해 왔다. 


과기정통부는 eSIM 도입 시 기대효과로 우선 이용자 편익을 강조했다. 다운로드만으로 개통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개통 편의성이 제고되고, 비용 절감효과를 기대 (USIM 7,700원, eSIM 2750원 : 워치류 기준) 할 수 있다는 것. 


듀얼심을 이용해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도 용도분리(일상용 or 업무용 등), 요금제 조합(MNO,MVNO)이용 등 이용자 선택권 확대 및 단말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산업적 측면에서는 비대면 개통, 통신사 이동 원활화, 요금제 조합 이용 등으로 알뜰폰 활성화의 효과가 기대된다.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은 유심(USIM)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다만 차이는 유심은 유심이라는 물리적인 칩에 소프트웨어(프로파일) 설치하여 유심 제조사가 통신사에 납품을 한다. 


반면 이심(eSIM)은 단말 제조사가 단말 내부에 물리적인 칩만 설치하여 통신사에 납품하고, 프로파일은 고객이 단말을 이용해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을 직접 설치해야 한다.


이심은 유심 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단말 내부 공간을 적게 차지해 단말 설계에 용이하다. 


또 SIM 구매 없이 원격으로 프로파일만 설치하면 단말을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면에서 우수하며 기타 보안과 단말 내구성 면에서도 장점을 갖고 있다. USIM은 12.3mm x 8.8mm인데 반해 eSIM 크기는 6mm x 5mm 수준이다.


듀얼심(Dual SIM) 단말은 한 개의 단말에 2개의 SIM을 사용할 수 있는 단말로 ① USIM + USIM, ② USIM + eSIM , 두 가지 형태의 단말이 존재하며 eSIM 표준 규격이 발간된 ’16년부터는 USIM + eSIM 형태의 듀얼심(Dual SIM) 단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듀얼심 단말과 기존 싱글심(Single SIM) 단말과의 차이점으로는 ① 듀얼심 단말은 IMEI(국제휴대전화식별번호)가 IMEI#1, IMEI#2와 같이 두 개가 제공됩니다. IMEI#1번은 유심(USIM) 용, IMEI#2번은 이심(eSIM) 용으로 고정 되어 있지만, 아이폰 13 시리즈, 아이폰SE3 단말의 경우 IMEI 값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처음 개통되는 SIM이 IMEI 1번을 사용하게 된다. 듀얼심 중 이심을 처음 개통할 경우 이심이 IMEI 1번 사용한다.


② 이심 단말에는 이심의 고유한 ID인 EID 값이 추가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치류) 개통 시 사용되는 EID 값이 듀얼심 단말의 이심 개통을 위해 동일하게 제공된다. 이심 개통을 위해서는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EID(eSIM ID)는 eSIM의 고유한 ID로 32개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듀얼심 단말 동작은 평상시에는 두 개 번호 모두 음성/SMS/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도록 대기 상태(Standby)이지만, 둘 중 한 개의 회선이 ‘통화 중‘ 상태일 경우 다른 나머지 하나 회선은 No Service 상태로 변경된다.(DSDS : Dual SIM Dual Standby)

No Service 상태에서는 음성/SMS/데이터 수신이 모두 불가능하다. 통화 중인 회선의 통화가 종료되면 다른 나머지 회선의 상태가 In Service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


참고로 Dual SIM Dual Active(DADA) 구조에서는 두 개의 회선 모두 동시에 통신이 가능하지만, 배터리 소모가 많고 발열 이슈가 있어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전글 글로벌 MVNO 가입자 현황
다음글 esim 서비스 이해 2) 주요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