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제목  [KISDI보고서] 데이터 중심 MVNO의 사례와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고찰
이름
 관리자
작성일  2014년 12월 16일 09시 27분
파일   데이터 중심 MVNO의 사례와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한 고찰.pdf        

 

 

요약

 

이동 통신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임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MVNO)는 설비 투자에 대한 부담없이 시장 진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통신시장의 경쟁 활성화를 목적으로 유럽, 미국을 비롯한 해외 주요 국가들은 MVNO를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 전 세계 MVNO 시장은 약 1.17억 명 정도가 가입 중인 것으로 추정되고,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는 MVNO 시장의 역사가 오래되어 이동통신 시장의 약 10~20% 사이의 점유율을 형성할 정도로 성장하였다. 최근 들어 아시아나 남아메리카의 국가들도 점차 MVNO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의 MVNO 시장은 틈새시장 공략을 목적으로 주로 선불 요금제, 노년층과 같은 특정시장 층을 위한 음성 서비스 위주의 상품을 주로 제공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고, LTE 시대가 도래하면서,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급증하였고, 사물통신과 같이 모바일 기기와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새로이 탄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장의 변화에 따라서 MVNO 시장이 어느정도 성숙기에 접어든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데이터 전용 MVNO가 점차 확산되고 있다. 데이터 전용 MVNO란 음성 서비스를 배제하고 모바일 데이터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MVNO를 뜻한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의 Amazon과 같은 경우 자사의 단말기인 Kindle에 모바일 데이터 서비스를 결합하여 소비자들이 데이터 요금에 대한 부담 없이 전자책을 다운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Google의 경우도 최근 Google Fiber라는 브로드밴드 사업을 기획 하면서 데이터 MVNO가 되기 위한 계획을 준비 중에 있다. 이러한 최근의 동향은 MVNO시장에 있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됨과 동시에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경우는 아직 MVNO 시장이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음성 서비스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만, 향후 MVNO 시장이 성장하고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점차 확산되면 데이터 전용 MVNO에 대한 기회가 점차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데이터 전용 MVNO와 관련하여 CPND 생태계 관점에서 해외에서는 어떠한 사례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사례들을 바탕으로 정

책적으로 향후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전글 [알뜰통신이용자보호 선언식] 알뜰폰이용자보호 방향 - 건국대 김시월교수
다음글 [경쟁촉진 3법 정책토론회] 단말기 완전자급제_전병헌의원